트랜잭션 수수료
GIWA 체인에서 취급하는 수수료의 종류와 트랜잭션 비용을 부과하는 방식이 궁금하신가요?
취급하는 수수료 종류
트랜잭션 수수료로는 기본적으로 ETH를 사용해요. 다만 추후 페이마스터 기능을 활용하여 다양한 스테이블코인을 기반으로 수수료를 지불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에요.
페이마스터란?
페이마스터는 이더리움에서 계정추상화(Account Abstraction) 개념에 기반해 등장한 시스템입니다. 쉽게 말하면, 사용자가 트랜잭션을 실행할 때 가스비(Gas fee)를 꼭 ETH로 낼 필요가 없게 해주는 역할을 해요.
왜 페이마스터를 도입하나요?
기존 이더리움에서는 모든 사용자가 트랜잭션 실행 시 가스비 지불을 위하여 ETH를 반드시 보유하고 있어야 해요.
그러나 Web3 초심자에게는 “가스비가 뭔지, ETH를 먼저 사야 한다는 것” 자체가 큰 진입 장벽이 됩니다.
페이마스터는 대신 가스비를 내주거나, 다른 토큰(예: 스테이블코인)으로 가스비를 내도록 허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합니다.
수수료 구성 요소
GIWA 체인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(Transaction) 수수료는 크게 두 가지 구성요소가 있어요.
트랜잭션 실행 수수료 (Execution Fee)
트랜잭션을 레이어 2(GIWA)에서 실행하고 처리하는데 필요한 비용이에요. 이더리움(Ethereum)에서 지불하는 트랜잭션 수수료와 동일한 방식이에요. 수수료는 (사용한 gas 양) x (해당 시점의 gas 가격)
과 같아요. 이더리움과 마찬가지로 GIWA 체인은 EIP-1559 매커니즘을 사용하여 트랜잭션의 경제적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.
보안 수수료 (Security Fee)
보안 수수료는 GIWA 에서 처리한 트랜잭션 데이터를 레이어 1인 이더리움에 publish할 때 발생하는 비용이에요. 이 역시 트랜잭션이기 때문에 레이어 1 트랜잭션 비용이 부과되는 형태에요.
일반적으로 트랜잭션 실행 수수료가 보안 수수료보다 높아요. 트랜잭션 실행 수수료는 레이어 2(GIWA)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달라지며, 보안 수수료는 레이어 1(이더리움)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달라져요.
더 알아보기
OP 스택(OP Stack) 개발자 문서를 확인해보세요.
Last updated